1장 디자인패턴과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1.1 디자인패턴
1.1.1 싱글톤패턴
1.1.2 팩토리패턴
1.1.3 전략패턴
1.1.4 옵저버패턴
1.1.5 프록시패턴과 프록시 서버
1.1.6 이터레이터 패턴
1.1.7 노출모듈패턴
1.1.8 MVC패턴
1.1.9 MVP패턴
1.1.10 MVVM 패턴
1.2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1.2.1 선언형과 함수형 프로그래밍
1.2.2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1.2.3 절차형 프로그래밍
1.2.4 패러다임의 혼합
예상질문
2장 네트워크
2.1 네트워크 기초
2.1.1 처리량과 지연시간
2.1.2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병목현상
2.1.3 네트워크 분류
2.1.4 네트워크 성능 분석 명령어
2.1.5 네트워크 프로토콜 표준화
2.2 TCP/IP 4계층 모델
2.2.1 계층구조
2.2.2 PDU
2.3 네트워크 기기
2.3.1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범위
2.3.2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2.3.3 인터넷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2.3.4 데이터 링크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2.3.5 물리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2.4 IP주소
2.4.1 ARP
2.4.2 홉바이홉 통신
2.4.3 IP주소체계
2.4.4 IP주소를 이용한 위치 정보
2.5 HTTP
2.5.1 HTTP/1.0
2.5.2 HTTP/1.1
2.5.3 HTTP/2
2.5.4 HTTPs
2.5.5 HTTP/3
3장 운영체제
3.1 운영체제와 컴퓨터
3.1.1 운영체제의 역할과 구조
3.1.2 컴퓨터의 요소
3.2 메모리
3.2.1 메모리 계층
3.2.2 메모리 관리
3.3 프로세스와 스레드
3.3.1 프로세스와 컴파일 과정
3.3.2 프로세스의 상태
3.3.3 프로세스의 메모리구조
3.3.4 PCB
3.3.5 멀티프로세싱
3.3.6 스레드와 멀티스레딩
3.3.7 공유 자원과 임계영역
3.3.8 교착상태
3.4 CPU 스케쥴링 알고리즘
3.4.1 비선점형 방식
3.4.2 선점형 방식
4장 데이터베이스
4.1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4.1.1 엔터티
_4.1.2 릴레이션
__4.1.3 속성
__4.1.4 도메인
__4.1.5 필드와 레코드
__4.1.6 관계
__4.1.7 키
4.2 ERD와 정규화 과정
__4.2.1 ERD의 중요성
__4.2.2 예제로 배우는 ERD
__4.2.3 정규화 과정
4.3 트랜잭션과 무결성
__4.3.1 트랜잭션
__4.3.2 무결성
4.4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__4.4.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__4.4.2 NoSQL 데이터베이스
4.5 인덱스
__4.5.1 인덱스의 필요성
__4.5.2 B-트리
__4.5.3 인덱스 만드는 방법
__4.5.4 인덱스 최적화 기법
4.6 조인의 종류
__4.6.1 내부 조인
__4.6.2 왼쪽 조인
__4.6.3 오른쪽 조인
__4.6.4 합집합 조인
4.7 조인의 원리
__4.7.1 중첩 루프 조인
__4.7.2 정렬 병합 조인
__4.7.3 해시 조인
예상 질문
5장. 자료 구조
5.1 복잡도
__5.1.1 시간 복잡도
__5.1.2 공간 복잡도
__5.1.3 자료 구조에서의 시간 복잡도
5.2 선형 자료 구조
__5.2.1 연결 리스트
__5.2.2 배열
__5.2.3 벡터
__5.2.4 스택
__5.2.5 큐
5.3 비선형 자료 구조
__5.3.1 그래프
__5.3.2 트리
__5.3.3 힙
__5.3.4 우선순위 큐
__5.3.5 맵
__5.3.6 셋
__5.3.7 해시 테이블
6장. 포트폴리오와 면접
6.1 포트폴리오
__6.1.1 첫 문장이 중요하다
__6.1.2 숫자로 말하라
__6.1.3 기술의 숙련도를 나눠서 표기하라
__6.1.4 리드미를 잘 작성하라
__6.1.5 오픈 소스 컨트리뷰터가 되자
__6.1.6 블로깅을 하자
6.2 면접
__6.2.1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
__
'책 > CS 전공 지식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책/CS 전공 지식 노트 4장 데이터베이스 (2) | 2024.11.24 |
|---|---|
| 2장 네트워크_ 네트워크 기기 (0) | 2024.11.14 |
| 2장 네트워크 _ TCP/IP 4계층 모델 (0) | 2024.10.25 |
| 2장 네트워크_네트워크기초 (1) | 2024.10.23 |